[경제] 김영란법 합헌 결정, 호텔업계에 끼칠 영향은?
2016년 7월 28일 14시에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즉, '김영란법'이 공포되었습니다. 김영란법은 2016년 9월 28일부터 법 시행이 될 예정인데요. 김영란법의 공포를 통해 공무원이나 국회의원, 기자 등 사회 경제, 경영에 영향을 행사할 수 있는 고위관리직의 부정부패를 해소할 수 있게되어 많은 사람들이 환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김영란법으로 인한 경제손실이 11조가 되며, 이는 곧 경제침체로 이어질 것이라는 걱정 또한 존재합니다.
김영란법은 일반 공무원, 기자, 교사, 국회의원 등의 직급의 식사는 인당 3만원, 선물비용은 1회 5만원으로 제한을 두어 접대문화를 축소시키겠다는 의도의 법입니다.

▲ 김영란법 시행령안 (출처 : 연합뉴스)

▲ 롯데호텔 호텔 레스토랑 전경 (출처 : 롯데호텔 홈페이지)
특히나 축산업분야, 외식업계, 호텔업계가 많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호텔업계 내 레스토랑은 대부분 3만원 미만의 상품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구비되어 있더라도 커피 한잔 추가시켜서 먹으면 인당 3만원을 훌쩍 넘어버리게 됩니다. 롯데호텔의 경우, 점심메뉴 가격은 4만원대, 저녁은 7-10만원 대인데, 재료를 바꾸거나 양을 줄이는 형식의 대책은 일시적인 대책으로 판단되며, 만약 이러한 대책을 실행하더라도 고객들이 호텔에서 식사를 하겠냐 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특급 호텔의 경우네는 고가의 비즈니스 런치/디너가 주요 매출원인데, 이러한 주요 수입모델이 무너지게 되면 전체적인 호텔의 품질이 낮아지고 고객이 떠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A 호텔 레스토랑 한정식 메뉴 (출처 : 헤럴드경제)
김영란법으로 인해 웃지 못할 헤프닝도 발생하고 있는데요. 신라호텔 '팔선'에서도 코스요리를 먹던 사람들이 짜장면으로 통일하기도 하며, 샐러드와 파스타를 하나씩 시키고 나누어먹고 커피를 주문하지 못하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몇몇 중소호텔의 경우에는 대부분 음식의 가격이 모두 3만원 이하로 구매할 수 있도록 편성되어 있지만, 이 또한 커피를 한잔이라도 마시면 3만원이 넘어가 전체적인 전체 매출 중 레스토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은 편이 아니며, 레스토랑 이용 고객군 중 김영란법 제제 대상 비율도 낮기 때문에 유명호텔이나 고급호텔 만큼 많은 피해를 입지는 않겠지만, 어느정도의 비지니스 미팅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번 김영란법으로 호텔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호텔도 대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인데요. 8월 5일, 김영란법 특별소위로 한도상향을 위한 협의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협의가 통과된다면 접대비 3만원, 선물 5만원, 경조사비 10만원에서 접대비 5만원, 선물 10만원, 경조사비 10만원으로 상향하게 됩니다. 이는 곧 호텔업계에서도 어느정도 가격타협점을 맞출 수 있는 여지가 생기며, 적용품목을 어느정도 제외하면 경제침체가 되는 정도가 낮아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호텔페어 사무국에서는 이러한 경제/사회적 이슈를 다루며 많은 정보를 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시회에서 컨퍼런스를 통해 경제/사회적 이슈를 공유하여 호텔업계의 방향성을 잡고, 어떠한 풍파에도 흔들리지 않는 단단한 호텔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호텔페어는 9월 7일까지 전시회 무료참관신청이 가능하며, 컴퍼런스는 9월 8일까지 모집하고 있습니다.
▼ 클릭하시면 2016 호텔페어 참관 및 컨퍼런스 참가 신청 링크로 넘어갑니다.